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연계 기업에 취업하는 경우 최대 480만 원의 근속 인센티브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조건과 방법, 지금 확인하세요!

▶︎ 청년지원금 신청하기


✅ 청년도약계좌와 뭐가 달라요?

많은 청년들이 가입을 희망하는 청년도약계좌는 일정한 근로 소득이 있어야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구직 중인 청년도 참여 가능한 제도인데요, 청년도약계좌는 2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유형2의 경우 기업 뿐만 아니라 청년에게도 인센티브를 직접 지급하고 있습니다.

💡 취업만 하면 6개월마다 120만 원씩, 최대 480만 원 직접 지원!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의 취업을 촉진하고 장기 근속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청년이 ‘빈일자리 업종’ 기업에 정규직으로 채용되면, 일정 재직 기간마다 현금성 근속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어요.

▶︎ 참여기업 리스트 확인


1️⃣ 유형1

유형 1 (기업지원형)은 기업에만 지원금을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기업이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최대 96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 유형2

유형 2 (청년도약형)은 동일한 기업 지원에 더해, 청년에게도 6개월마다 120만 원씩 인센티브를 직접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기업만 혜택을 받았다면, 이제 청년도 총 480만 원의 현금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참여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유리한 구조입니다.


📌 신청 자격은?

  • 만 15~34세 이하 청년 (군필자는 복무기간만큼 연장)
  • 정규직으로 채용된 미취업 청년
  • 청년도약계좌 미가입 상태여도 신청 가능

빈일자리 업종이란?

제조업(C분류) 등 정부가 고용 수요가 많다고 인정한 업종이며, '고용24’에서 해당 참여기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규모나 업종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만 참여가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은?

  • 기업은 청년 채용 전 ‘고용24’에서 사업 신청 필요
  • 청년은 재직 중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도달 시 신청
  • 신청은 고용24 사이트에서 온라인 접수
  • 근속 인센티브는 본인 명의 계좌로 입금

⚠️ 주의사항

  • 근속 인센티브는 해당 시점 이후 2개월 이내 신청 필수
  • 청년도약계좌와 일부 시점이 중복되면 지원 제한 가능
  • 빈일자리 업종 참여기업 여부는 반드시 확인해야 함

❓FAQ

Q. 무직 상태에서도 신청 가능한가요?
👉 네. 취업 후 6개월 이상 정규직으로 재직하면 청년도 신청 가능합니다.

Q. 어떤 기업이 참여기업인지 모르겠어요.
👉 고용24에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참여기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Q. 청년도약계좌랑 중복해서 받을 수 있나요?
👉 일부 중복은 가능하지만, 기간이 겹칠 경우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청년지원금 신청하기


다음 이전